2025년 생계급여 신청방법·자격·금액 총정리
1. 생계급여란?
생계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핵심 급여로,
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에 최저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2025년에는 지원 금액 인상과 함께 일부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어
더 많은 저소득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2. 2025년 생계급여 지원 대상
- 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
- 재산 기준: 지역별 기본재산액(대도시 7,000만 원 / 농어촌 3,500만 원 등) 차감 후 반영
- 가구원 수 기준: 동일 가구의 소득·재산을 합산하여 산정
쉽게 말해, 소득 +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가구라면 지원 가능하다는 뜻입니다.
3. 2025년 생계급여 지원 금액
1인 가구 | 약 66만 원 | 최대 66만 원 |
2인 가구 | 약 110만 원 | 최대 110만 원 |
3인 가구 | 약 142만 원 | 최대 142만 원 |
4인 가구 |
약 170만 원 | 최대 170만 원 |
5인 가구 | 약 200만 원 | 최대 200만 원 |
※ 실제 지급액은 소득인정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4. 신청 방법
(1) 온라인 신청
-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
-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온라인 신청 가능
(2) 오프라인 신청
- 거주지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방문
- 구비 서류 제출 후 접수
5. 필요한 서류
- 신분증
- 소득 증빙 서류 (급여명세서, 사업소득확인서 등)
- 금융재산 증명서
- 임대차계약서(세입자인 경우)
- 가족관계증명서
※ 상황에 따라 추가 서류가 요구될 수 있으니, 주민센터에 미리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.
6. 신청 절차
-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
- 소득·재산 조사 (4주 내외 소요)
- 수급자 여부 결정 통지
- 매월 생계급여 계좌 지급
7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생계급여와 다른 지원금(주거급여 등)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👉 네.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·주거·교육·의료급여는 중복 수급 가능합니다.
Q2. 일시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생계급여가 끊기나요?
👉 단기 소득은 반영 방식이 다르며, 일정 기간 평균 소득으로 판단합니다. 갑작스러운 해고·질병의 경우 ‘긴급복지’로도 신청 가능합니다.
Q3. 기초연금이나 장애인연금과 중복 수급 가능한가요?
👉 가능합니다. 다만 소득인정액 산정 시 일부 합산되므로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8. 마무리
생계급여는 저소득 가구의 최저생활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2025년 기준 금액과 신청 절차가 달라졌으니, 꼭 확인하시고 놓치지 마세요.